텃새4 매미산 능선에서 만난 텃새 곤줄박이 .... 매미산 정상오르는 능선에서 만난 곤줄박이 유조인듯 보이는데 곤줄박이는 사람을 피하지않는 습성이 있다고는 하지만 한동안 모델이 되여준 귀여운 새다. 2023.12.03.(일) 매미산 능선에서 .... 참새 크기의 소형 조류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번식하고 서식하는 아주 흔한 텃새이다. 다만, 백두산과 개마고원 등 북부의 고산지대에는 확인되지 않는다. 일본과 쿠릴 열도 등에도 서식한다. 학명은 Parus varius 이다. 곤줄박이의 ‘곤’은 ‘까맣다’라는 ‘곰’의 의미이고 ‘박이’는 일정한 장소에 박혀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곤줄박이’는 ‘검정색이 박혀있는 새’라는 의미가 된다. 예로부터 곤줄박이는 사람을 피하지 않는 습성과 예쁘게 생긴 모습 때문에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그래서 이 새를 이.. 2023. 12. 4. 매미산 정상에서 만난 동고비 .... (1) 주일 아침식사를 마치고 추위에 나갈까 망서리다가 집근처 가까운 매미산 으로 혹시나 동고비를 만나수 있을까 ? 카메라를 챙겨서 집을 나선다. 능선에서 곤줄박이가 모델이 되여 주더니만 , 정상에 오르니 동고비를 쉽게 여러마리를 볼수 있었네요. 아주 근접하여 먹이를 가져가는 모습이 사람과 매우 친숙하게 느끼는듯 보이네요. 2023.12.03. (일) 매미산 정상에서 만난 동고비 .... 몸길이 13.5cm, 날개길이 7.5∼8.5cm이다. 몸의 윗면은 잿빛이 도는 청색이고 아랫면은 흰색이다. 겨드랑이와 아래꽁지덮깃에는 밤색 얼룩이 있다. 부리에서 목 뒤쪽으로 검은색 눈선이 지난다. 산지 숲 또는 도시 공원에 산다. 나무줄기를 자유자재로 기어다니는데, 머리를 아래로 한 채 거꾸로 다니기도 하고 굵은 나뭇가지 아.. 2023. 12. 3. 2020 창경궁 춘당지의 원앙 -1 도시 새의 보금자리 - 춘당지 서울 도심속 가까이에서 볼수 있는곳 창경궁 춘당지 ... 겨울철 날씨가 포근하여 춘당지가 얼어붙지 않아 창경궁 춘당지에 올해는 원앙이 일찍 찾아 온듯합니다. 예전에는 철새였는데 텃새로 자리잡은지가 오래 되었다고 합니다. 허니문 시즌을 맞은 숫원앙들의 깃털은 더욱 화려해 보입니다. 이른아침 먹이 사냥하는 모습들이 매우 생동감이 있내요. 명절 연휴라서 고궁 입장료도 무료 입니다. 시간되시면 다녀와도 좋을듯 합니다. Canon EF70-200 mm f/4 L IS II USM 창경궁 홈페이지 : http://cgg.cha.go.kr/ 2020. 1. 26. 공원에서 만난 텃새 진박새 ... 텃새인 진박새가 먹거리로 솔방울의 씨를 먹는듯 합니다. 지난번부터 눈여겨 보았는데 이른아침부터 무리를 지어 와서 먹이 먹는 모습을 담아봤습니다. 산만하여 담기가 쉽지가 않터군요. 미세먼지가 심한주말 입니다. 블로그 친구님들 건강유의하세요. 2020. 1.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