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2년산행,트레킹

2022 전북 무주 덕유산 산행및 야생화 탐방

by 낮달 (月昕) 2022. 6. 5.

2022.06.04. (토)

 

연휴 주말 이른아침에  덕유산 산행및 야생화 담으러  친구와 함께 떠납니다.

당초 예상시간은 2.5HR 이었으나 연휴로 고속도로에 차량이 많아 2시간이나 지연도착 하였내요.

곤도라및 탐방로는 미리예약을 해서 문제는 없었지만 , 정말  많은분들이 덕유산을 찾은듯 합니다.

화창한 날씨는 아니라 조금은 아쉬웠지만  산행및 야생화 담기에는 문제가 없었내요

늘 함께한 친구덕분에 편하게 다녀왔고 행복한 시간을 보낸 하루였습니다.

 

 

2022.06.04. (토)  덕유산 에서 ....

 

 

 

덕유산 정상은 설천봉까지 곤도라 이용 쉽게 접할수 있는곳 ...

 

 

 

향적봉으로 오르는 능선에서 ....

 

 

 

향적봉으로 오르는 능선에서 ....

날씨가 흐려 뿌연상태 였지만 시원한 바람과 멋진 풍광에 가슴이 탁트이는듯 합니다.

 

 

 

화창한 날씨는 아니었지만 ....

산행하기에는 좋은 날씨였습니다.

 

 

 

 

오르는 능선에서 ...

향적봉 뒷배경으로 친구 모습 

 

 

 

오늘은 중봉까지 원점회귀 산행 ....

중봉가는길의 야생화 담기를 겸 합니다.

 

 

 

덕유산 정상 향적봉의 표지석 (1614M) 에서 ....

줄서서 기다려 인증샷 남겼습니다.

 

 

 

탐방객에게 부탁 친구와 함께 인증샷 담기 ...

 

 

 

시원한 바람과 함께 한참 머물고 싶은곳 입니다.

주위에는 야생화가 피어 노란색으로 변해 있구요.

 

 

 

 

중봉으로 가는길목 ...

향적봉 대피소 방향 입니다.

 

 

 

중봉가는 능선의 지킴이 고사목들 ....

길안내 하는듯 합니다.

 

 

 

중봉가는 능선의 지킴이 고사목들 ....

 

 

 

중봉가는 능선의 지킴이 고사목들 ....

 

 

 

 

중봉가는 능선의 지킴이 고사목들 ....

늘 그자리에서 능선의 안내자 인듯 합니다.

 

 

 

 

2021.06.20 산행시 담은 이미지  입니다.

 

 

 

2011.02.14.  산행시 담은 이미지  입니다.

고사목의 첫만남 ....

 

 

 

중봉이 눈앞에 ... 

향적봉에서 중봉까지는 능선으로 이뤄져 쉽게 접할수 있는곳

이곳 능선이 야생화 군락지 입니다.

 

 

 

중봉오르는 능선의 우측에 야생화 군락지 ...

 

 

 

중봉오르는 능선의 우측에 야생화 군락지 ...

 

 

 

중봉오르는 길목에서 ... 

지나온 멀리 향적봉이 보입니다.

 

 

 

중봉에서 바라본 남덕유산 방향 풍광 입니다.

늘 중봉 아래 능선의 풍광이 멋지게 펼쳐져 있는곳 ....

이곳 이미지를 담기 위해서 여기까지 왔습니다

 

 

 

능선의 산행길이 매우 편안해 보이네요.

 

 

 

 

 

 

좌측 능선으로 오수자굴및 백련사 방향 

우측은 안성탐방 지원센터 에서 올라오는 방향 이네요.

이곳이 중봉 삼거리 .....

 

 

 

 

봉 능선의 야생화 군락지 ....

 

 

 

 

 

 

고산지대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45∼60cm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끝에서 원줄기가 나와서 곧게 자라고 포기 전체에 털이 퍼져 난다.

밑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글며 가장자리가 5∼7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불규칙하게 깊이 패어 들어간 흔적과 톱니가 있다.

떡잎은 넓은 바소꼴이고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갈색이다.

꽃은 7∼8월에 붉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피는데, 지름 2.5cm로서 원줄기와

가지 끝에 3∼8개가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작은꽃줄기는 열매가 성숙할 때도 곧게 선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넓은 바소꼴이고 5개의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밑부분에 긴 털이 난다. 열매는 삭과로서 줄 모양이고 9∼10월에 익는다.

관상용이나 약용으로 심는다. 설사를 멈추는 효능이 있어 지사제(止瀉劑)로 쓰인다.

한국·일본·중국·몽골·헤이룽강·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털쥐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꽃쥐손이로 통합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꽃쥐손이

 

 

 

중봉과 향적봉 사이의 능선에 개화가 시작된  꽃쥐손이 ...

지난해에 보다 1주이상 빨리 와서 그런지 꽃잎상태가 매우 양호 하군요.

야생화는 접사렌즈로 촬영 하여야 하는데  좀 아쉽네요.

 

 

 

 

능선에 매우 색감이좋은 벌깨덩굴이 처음만남 입니다.

 

 

벌깨덩굴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숲 속에 약간 습기가 있는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길이는 15~30㎝가량이며, 줄기는 사각형이다.

잎은 길이가 2~5㎝, 폭은 2~3.5㎝이고, 신장형으로 약간 세모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보라색으로 4~8송이 정도가 윗부분과 줄기의 위쪽 잎 사이에서 커다란 입술 모양을 하며

한쪽으로 향하여 핀다. 열매는 7~8월경에 계란 모양으로 달린다.

꽃이 피어 있을 때는 위로 곧게 자라지만 꽃이 지고 종자가 결실되기 시작하면 덩굴처럼 다른 식물을 감고 있는데,

이는 처음 모습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으로 변하는 식물이다.

그래서 철 지난 후 자생지에 가면 원래의 모습은 없고 덩굴만 있어 다른 식물로 오인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잎은 식용으로 쓰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벌깨덩굴 (야생화도감(봄), 2010. 4. 10., 정연옥, 박노복, 곽준수, 정숙진)

 

 

 

 

솜대·솜죽대·녹약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육질이고 옆으로 자라며 끝에서 원줄기가 나와 비스듬히 20∼50cm로 자라며

위로 올라갈수록 털이 많아진다. 밑부분은 흰색 막질의 잎집 으로 싸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5∼7개가 두 줄로 배열하고 긴 타원형으로 세로맥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길이 6∼15cm, 나비 3∼5cm로 잎자루가 짧다.
꽃은 5∼7월에 피고 흰색이며 원줄기 끝의 복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은 지름 5mm 정도이고 작은꽃자루는 길이 2∼3mm이다. 화피갈래조각은 6개이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 3∼4mm이며 끝이 둔하다. 수술은 6개로 화피보다 짧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고 지름 5mm 정도이며 붉은색으로 익는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사지마비·생리불순·종기·타박상에 약용한다. 일본·중국·우수리강·헤이룽강 등지에 분포한다. 잎의 길이가 15cm, 나비가 6∼10cm인 것을 왕솜대(var. mandshurica)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풀솜대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특이한 냄새를 풍기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1m 이상의 크기로 자란다. 뿌리줄기는 약간 살찌고 있으며 별로 가지를 치지 않는다.
마디마다 2장의 잎이 마주 자리하며 깃털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잎 조각은 줄 꼴에 가까운 피침 꼴이다.

잎 조각의 양끝이 뾰족하거나 위쪽의 끝이 무디며 가장자리에는 무딘 톱니가 있다. 잎의 질은 부드러운 편이다.
줄기 끝에 작은 꽃이 우산 모양으로 모여 피는데 그 생김새는 마타리나 뚜깔과 흡사한 모습이다.

꽃은 넓은 쟁반 모양이고 끝이 다섯 갈래로 갈라져 있다.

꽃의 지름은 3mm 안팎이고 빛깔은 분홍빛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쥐오줌풀 (몸에 좋은 산야초, 2009. 11. 15., 장준근)

 

 

 

함박나무꽃도 이제막 개화 시작 인듯 합니다.

 

 

함박꽃나무는 우리나라 각처의 깊은 산 중턱 골짜기에서 나는 낙엽 소교목이다.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고 토양 비옥도가 높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3~7m 정도이고, 잎은 길이 6~15㎝, 폭 5~10㎝로 표면에는 광택이 많이 나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 맥을 따라 털이 있다.

꽃은 백색이며 지름은 7~10㎝로 꽃밥과 수술대는 붉은빛이 돌고 강한 향기가 난다.

열매는 9~10월경에 길이가 3~4㎝로 원형으로 달리고, 종자는 적색으로 길이는 0.8~0.9㎝이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함박꽃나무 (야생화도감(봄), 2010. 4. 10., 정연옥, 박노복, 곽준수, 정숙진)

 

 

 

 

 

 

향적봉으로 돌아와서 다녀온 중봉방향 풍경 입니다.

 

 

 

 

 

 

덕유산 정상의  천상의 화원 ....

 

덕유산 정상의  천상의 화원 ....

 

 

 

 

 

 

 

 

향적봉 바위 위에서  ....

 

 

 

 

 

향적봉에서 하산중 설천봉의 모습 입니다.

 

 

 

덕유산 설천봉 지킴이 고사목들 ...

 

 

 

 

친구와 함께한 산행및 야생화 탐방은 여기까지 ....

겨울철 설경을 보러 다시찾아 와야 겠습니다.

 

 

 

□ 7次  2022.6.04   설천봉 ~ 향적봉 ~ 중봉 ~ 향적봉 ~ 설천봉

□ 6次  2021.10.3   설천봉 ~ 향적봉 

□ 5次  2021.6.19   설천봉 ~ 향적봉 ~ 중봉 ~ 향적봉 ~ 설천봉

□ 4次  2019.6.26   설천봉 ~ 향적봉 

□ 3次  2013.1.19   설천봉 ~ 향적봉 ~ 중봉 ~ 오수자굴 ~ 백련사

□ 2次  2011.7.17   설천봉 ~ 향적봉 ~ 못봉 ~ 대봉 ~ 빼재 (신풍령 휴게소)

□ 1次  2011.2.13   안성탐방지원썬터 ~ 백암봉 ~ 중봉 ~ 향적봉 ~ 백련사

 

 

관광곤도라는 10월 ~ 익년 2월  주말(공휴일)  사전예약제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