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이야기

친근감이 넘치는 곤줄박이 ....

by 낮달 (月昕) 2022. 1. 29.

 

2022.01.29.(토)

 

오전  늦은시간 아파트 에서 만난 곤줄박이 입니다.

나무 쫍는소식에 자세히 보니 곤줄박이 ....

열심히 먹이사냥을 하지만 주위에서 맴도는 모습이 매우 친근감이 있내요.

 

오늘부터 명절연휴 포근한 날씨지만 COVID-19로 밖출입을 조심할때 입니다.

가족과 함께하는 즐거운 명절 되시길요.

 

 

 

 

 

 

 

 

 

 

 

곤줄박이

날개 길이는 71∼82㎜, 꼬리 길이는 46∼62㎜, 부척(跗蹠)은 17∼22㎜이다.

머리꼭대기에서 뒷목까지 검은색이다. 턱밑과 멱 또한 검은색이며, 뺨에는 노란색과 흰색 점이 있다.

낙엽 활엽수림이나 잡목림의 틈새 혹은 인공새집에서 번식한다.

이끼나 풀을 이용하여 그릇 형태의 둥지를 만든다.

번식 기간은 4월에서 7월 사이이며 알의 개수는 5∼8개이다.

포란 기간은 약 2주 정도이며 육추(育雛: 부화한 조류의 새끼를 키우는 일) 기간은 약 15일이다.

주로 곤충류를 먹이로 하며 기타 종자와 열매도 먹는다.

육추 시에는 곤충의 유충을 가장 많이 먹고 성충, 번데기, 거미류 및 식물성 순으로 즐겨 먹는다.

겨울에는 식물성인 솔씨와 풀씨 등을 먹는다.

겨울철에는 무리로 생활하며 다른 종과 혼성군을 이루기도 한다.

번식기에는 암수가 함께 생활한다.

보통 딱다구리와 비슷한 방식인 부리로 나뭇가지나 줄기를 치면서 먹이를 찾기도 한다.

 

예로부터 곤줄박이는 사람을 피하지 않는 습성과 예쁘게 생긴 모습 때문에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그래서 이 새를 이용하여 점을 치기도 하였다. 또한, 인가 근처에 둥지를 만들어 번식하기도 한다.

고산지대보다는 산림의 저지대에서 주로 서식하여 인간과의 거리가 멀지 않고 쉽게 관찰되기 때문에

생태학자들의 연구 대상 조류로 많이 이용된다.

가을에 식물 줄기 사이나 썩은 나무의 작은 구멍에 숨겨놓았다가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 꺼내먹는 지혜를 가지고 있다.

간혹 숨겨놓은 장소를 잊어버리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씨앗이 분산하기도 한다.

국립공원에서는 봄소식을 전하는 전령사 및 기후변화 연구 대상종으로 선정하여 연구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곤줄박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